반응형
기술특례상장은 기술력이 뛰어난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상장하려면 일정 수준의 매출, 이익, 자본 등의 재무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그러나 기술특례상장은 이러한 재무 요건 대신,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여 상장을 허용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바이오, IT, 소프트웨어, 첨단 제조업 등 기술 집약적인 분야의 기업들이 이 제도를 통해 상장을 시도합니다.
1. 기술특례상장의 절차
기술특례상장을 위해서는 기업이 먼저 기술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술평가기관은 기업의 기술력, 연구 개발(R&D) 수준, 향후 성장 가능성 등을 평가합니다.
평가 결과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상장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되어 상장 절차를 밟을 수 있습니다.
기술평가를 통과한 기업은 이후 상장 주관사(증권사)를 통해 상장 신청을 진행하게 되며,
한국거래소의 심사를 거쳐 상장 여부가 결정됩니다.
2. 기술특례상장의 장점
- 재무 요건 완화: 일반상장을 하기에 매출이나 이익이 부족한 기업도 상장이 가능합니다.
- 자금 조달 기회 확대: 상장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향후 연구 개발 및 사업 확장에 유리합니다.
- 기업 가치 제고: 기술력을 인정받아 상장함으로써 기업의 신뢰도와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기술특례상장의 단점
- 기술 평가의 주관성: 기술평가 과정에서 주관적인 요소가 작용할 수 있어, 기업 평가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 상장 후 실적 압박: 상장 후에 매출이나 실적 향상을 보여줌으로써 시장의 신뢰를 유지해야 하므로, 기술 개발만 잘해서는 상장 폐지 절차를 밟을 수도 있습니다.
- 기술 탈취 위험: 상장 과정에서 기술 정보가 공개되거나 노출될 가능성이 있어, 특허나 내부 보안 강화로 핵심 기술 유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4. 기술특례상장의 사례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상장된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바이오, 반도체, AI,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셀트리온, 카카오게임즈가 있습니다. 기술력을 기반으로 상장 후 자금을 확보하여 기술 개발을 이어가고, 이후 매출과 이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은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들에게 상장 기회를 제공하여, 자금 조달과 성장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다만, 기술평가의 공정성 문제와 상장 후의 실적 관리 등의 과제도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상장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카누(Canoo: GOEV) $45,000에 LDV130 배송 시작!! (0) | 2024.10.19 |
---|---|
[주식] 카누(Canoo: GOEV)가 요크빌(Yorkville)로 부터 약 250만 달러의 자금을 전환 사채 발행을 통한 추가 확보 (0) | 2024.10.16 |
[주식] 카누(Canoo: GOEV) LDV 190, AutoTech Breakthough에서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 (0) | 2024.10.13 |
[주식] 선물옵션이란 무엇인가? (0) | 2024.10.11 |
[주식] 미국 주식 카누(GOEV) 투자 1년차.. 이걸 버터야 하나.. (0) | 2024.10.05 |